지난 포스트에서 좀 더 자세히 CubeMX에서 설정 부터 UART(USART) Printf - HAL & Polling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제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내부 동작 순서나 Debugging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printf() Log 출력하는 방법을 STM32G431RB Nucleo board를 사용해서 UART를 통해 구현해보겠습니다. CubeMX(혹은 CubeIDE)핀 설정은 아래와 같이 해줍니다. LPUART : PA2, PA3 BUTTON : PC13 STM32G4 Nucleo board에는 LPUART PA2,PA3을 통해서 UART VCP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부 회로도를 확인해 보면 PA2, PA3 핀은 ST-Link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PC에 Virtual C..
오늘은 STM32CubeAI를 이용한 아주 간단한 XOR 게이트 머신러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워낙 A.I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활용되어 어디에서든 쉽게 AI 모델을 찾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런 모델중에서도 가장 쉬운 XOR 게이트 모델을 통해 STM32CubeAI의 활용중에 아주 기초적인 사용법을 익히도록 하겠습니다. 1. 모델생성 및 .h파일 만들기 우선 model을 아래와 같이 만듭니다. 아래 모델은 Google에서 찾았으나 어느 사이트였는지 기억이 나지않아 링크를 걸지 못했습니다. (보통 왠만한 모델들은 검색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 모델은 각각 XOR의 Input값과 Output 값을 sigmoid 활성화 함수, mse 손실함수와 함께 4000번 학습시..
Polling Conversion에서 유의해야 할 Overrun을 없애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Overrun 제거 그것은 바로 AUTODLY를 Set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하도록 하겠습니다. AUTDLY=1로 설정 한 후 Conversion을 보면 CH1 Conversion 이후 ADC_DR에서 Read하기 전까지는 다음 Channel CH2를 Conversion 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Overrun이 발생하지 않게됩니다. CubeMX 설정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CubeMX의 설정을 알아보겠습니다. 핀설정은 생략하고 Configruation 부분만 발췌하였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는 여러채널을 한번에 Conversion 하기 위해서 Scan Conversion Mode을..
오늘의 주제는 Datasheet 와 Reference manual로 MCU를 선택했다면, 이 MCU에 맞는 F/W(소프트웨어) 예제를 찾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STM32는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예제 코드를 배포하고 있습니다. 배포되는 예제 코드는 모두 동일하며 ST에서 제공하고 있는 세가지 종류의 보드(Nucleo, Discovery, Evaluation)에서 바로 구동이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배포되는 예제에는 BSP, HAL Driver, Middleware들 그리고 각 Compiler의 plugin 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보드에서 완전히 동작하는 application, demo와 MCU의 각 주변장치(Peripheral)들의 개별 예제들이 들어있습니다. 이러한 예제들은 ..
STM32CubeMX에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코드는 Flash 메모리에 IRQ Handler들을 올립니다. 그래서 Interrupt가 발생하게 되면 Flash에 올라가 있는 IRQ Handler를 호출하여 해당 Interrupt를 수행하게 됩니다. 간혹 Application이 Flash가 아닌 RAM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이러한 경우 보통 IRQ Handler를 RAM function으로 만들어 Interrupt가 발생하면 RAM 상에서 해당 Interrupt를 처리하도록 합니다. 여기서의 맹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IRQ Handler의 Vector Table이 Flash에 있다는 것입니다. Interrupt가 발생하면 Flash의 Start 영역에 기록된 Vector Table을 참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