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이유에서인지 STM32 와 ST-Link 연결이 안 될 경우 꼭 확인해봐야할 사항에 대해 총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문은 계속해서 생각나는대로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흔히 보드가 새로 나오거나 개발환경이 달라질 때 ST-Link 디버거와 타겟(STM32)와 연결이 안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여러가지 사례들을 알아보고 해결 방법을 모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Link PWR을 제외한 ST-Link들은 타겟 자체에 전원이 별도 공급되어야 합니다. 1. 타겟에 전원이 안들어 간 경우타겟(STM32) VDD, GND 핀들을 각각 확인 해 보고 정격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 보세요. 2. 타겟의 전원이 ST-Link 전원 Detect Pin에 연결이 안된 경우아래 이..
우리가 아주 끔찍하게 싫어하는 Hardfault를 임의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래 코드를 넣으면 PC가 수행할 수 없는 주소로 변경되면서 Hardfault로 Jump 하게됩니다. typedef void (*Function_Pointer)(void); /* USER CODE END PFP */ /* Private user code ---------------------------------------------------------*/ /* USER CODE BEGIN 0 */ /* USER CODE END 0 */ /** * @brief The application entry point. * @retval int */ int main(void) { /* USER CODE BEGIN 1 */ /* USER..
오늘은 STM32CubeAI를 이용한 아주 간단한 XOR 게이트 머신러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워낙 A.I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활용되어 어디에서든 쉽게 AI 모델을 찾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런 모델중에서도 가장 쉬운 XOR 게이트 모델을 통해 STM32CubeAI의 활용중에 아주 기초적인 사용법을 익히도록 하겠습니다. 1. 모델생성 및 .h파일 만들기 우선 model을 아래와 같이 만듭니다. 아래 모델은 Google에서 찾았으나 어느 사이트였는지 기억이 나지않아 링크를 걸지 못했습니다. (보통 왠만한 모델들은 검색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 모델은 각각 XOR의 Input값과 Output 값을 sigmoid 활성화 함수, mse 손실함수와 함께 4000번 학습시..
안녕하세요? Serial 통신 PC 프로그램 자주 사용하시나요? STM32 개발할 때 무료로 자주 사용되는 STM32CubeIDE Terminal Console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무료툴로 TeraTerm, Putty 등이 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간단히 Serial 통신을 확인 할 때 STM32CubeIDE Console view에서 지원하는 Serial Terminal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1. STM32CubeIDE 켜고 > Window > Show View > General > Console 을 체크하면 아래와 같은 View가 생깁니다. 오른쪽 위의 빨간 부분을 클릭 > Command Shell Console 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인터페이스 설정창이 뜨게됩니다. 2. C..
IAR 9.20.1 버전 이후 에 overriding 되어 있는 fputc() 은 더 이상 동작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URL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ar.com/kr/knowledge/support/technical-notes/compiler/migrating-projects-with-the-custom-fputc-function/ 사용자 정의 fputc() 함수로 프로젝트 마이그레이션 사용자 정의 fputc() 함수로 프로젝트 마이그레이션 기술노트 220216 아키텍처: Arm 컴포넌트: compiler 업데이트: 2022-07-05 오전 12:10 개요 사용자 정의 함수 fputc()가 있는 일부 프로젝트가 EWARM 9.20.1 이 www.iar.com 위의 Ap..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