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에선 GitHub에 저장소를 만드는 것까지 진행했습니다. 이번에 Eclipse 부분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합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간단한 소스를 생성하였습니다. 이제 생성된 좌측의 program_1 폴더의 마우스 오른 버튼을 누르시고 [Team]>[Share Project...]를 누르고 아래 화면 처럼 세팅합니다. 이 설정은 현재 로컬 PC에 저장소 설정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설정이 만든 후 GitHub와 연동하게 됩니다. [Finish]를 누르면 아래 화면처럼 .git 폴더가 새로 생성됩니다. 그리고 아이콘 옆에 물음표(?)와 >가 생성됩니다. 여기에서 다시 program_1 폴더에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Team] > [Commit] 을 누르면 됩니다. 그리고 ..
형상관리라고 하는 소스관리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작성한 소스 코드를 어떻게 관리하고 계신가요? 프로그램은 한번에 완성된 코드를 작성 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수정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코딩과 디버깅 과정이라고 하는데 상당한 많은 작업을 하게 됩니다. 하나의 프로그램이 완성되어도 여러번의 유지보수가 발생하기도하고 혹은 대규모의 수정 및 파생 프로그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소스관리를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소스를 가장 쉽게 관리하는 방법은 큰 규모의 수정이 생길 때 마다 날자별로 폴더를 새로 만들어 이전것은 백업하고 새로 복사한 코드에서 수정하는 고전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현재 코드와 바로 이전 코드는 비교적 비교하기 쉽지만 더 오래된 코드와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수정된 코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