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시간에 이어 display - driver를 잇는 adapter 부분을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구조가 되겠네요. display - adapter - driver 다 구현하면 중간에 adapter가 있어 display도 다른 driver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먼저 adapter의 header(interface) 부터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setup_display_adapter을 선언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setup_display_adapter를 호출하면 driver_t의 포인터를 전달해 주도록 되어있습니다. 아참 아래와 같은 코드가 많이 나오는데요, 혹시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설명드리자면 여러 파일에서 하나의 header파일을 include할 때 중복선언으로 ..
[네이버 지식백과]adapter 패턴 (쉽게 배우는 소프트웨어 공학, 2015. 11. 30., 한빛아카데미(주))남이 작성한 코드를 내 코드에 적용해야 할 때가 아주 많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크기가 다른 볼트와 너트처럼 딱 맞아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중간에 양 쪽에 잘 맞는 나사를 하나 덧 대는 것으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Adapter 패턴은 흔히 레거시 코드(Legacy Code)라고 불리는 예전에 작성된 코드들을 현재의 코드와 맞게 고치는 방법입니다.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자신의 코드에 맞게 고쳐쓰는 방법으로도 좋습니다. 우리는 중간에 Adapter라는 Wrapper 함수를 만들어 Adapter패턴을 구현할 것입니다. 이번 예제에서는 display라는 콘크리트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